『한비자』는 '법가(法家)'의 이론을 집대성해 놓은 책으로서, 전부 55편, 10여만 어로 되어 있다. 저자는 한비(韓非)라고 전하지만 모두가 그의 손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 내용이나 형식으로 볼 때, 직접 자기의 주장을 말한 논문체의 문장과 설화를 모은 것 등,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한비자』의 핵심은 '법술’이다. 한비보다 앞선 법가의 이론에는, ‘법’에 중점을 둔 자와 ‘술(術)’을 중요시한 두 유파가 있었는데, 한비는 이 두 유파를 통합하여, ‘법술’ 이론을 완성, 이것을 국가 통치의 근본 원리라고 주장하였다.
한비는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말기, 한(韓)나라의 공자(公子)로 태어났다. 그는 선천적으로 심한 말더듬이였다고 한다. 진시황(秦始皇)이 그의 저작을 읽고 감동해서 한비를 초청하여 한비는 진나라로 왔으나, 남의 중상모략으로 비명의 죽음을 당했다고 한다. 그러나 한비의 법술 이론은 진시황에게 큰 영향을 미쳐, 천하통일의 이론적 지주가 되었다고 한다.
韓非子語錄
“호랑이가 개를 굴복시킬 수 있음은 그 발톱과 이빨이니라 [夫虎之所以 能服狗者, 爪牙也, 부호지소이 능복구자, 조아야]” (二柄篇)
“작은 충성을 행하는 것은 큰 충성을 해치는 것이다 [行小忠則大忠之賊也, 행소충즉대충지적야]” (이병편)
“이웃나라에 성인(聖人)이 있으면 적국(敵國)이 될 염려가 있다 [隣國在聖人憂敵國, 린국재성인우적국]” (이병편) ---확인 필요
“일은 은밀해야 이루어지고 말은 새어 나가서 패한다 [夫事以密成, 語以泄敗, 부사이밀성 어이설패]” (說難篇)
“임금에도 역린(逆鱗)이 있다 [人主亦有逆鱗, 인주역유역린]” (세난편)
“천 길의 둑도 개미구멍으로 무너진다 [千丈之堤 以螺蟻之穴潰, 천장지제 이루의지혈궤]” (喩老篇)
“먼 곳의 물은 가까운 곳의 불을 끄지 못한다 [遠水不救近火, 원수불구근화]” (說林上篇)
“거짓은 졸렬한 진실만 못하다 [巧詐不如拙誠, 교사불여졸성]” (세림상편)
“전진(戰陣) 사이에서는 거짓을 싫어하지 않는다 [戰陣之間 不厭詐僞, 전진지간 불사위]” (難篇)
출처: 난세의 인간학, 월간 엔터프라이즈, 1986년 11월
'중국고전과 현대 처세학 (난세의 인간학) > 한비자(韓非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한비자] 타인의 힘에 의존하지 말라 (0) | 2022.12.02 |
---|---|
4. [한비자] 탑이 자멸하는 원인 (0) | 2022.12.01 |
3. [한비자] 술을 통한 부하 통솔법 (0) | 2022.11.30 |
2. [한비자] 무언의 권위 (0) | 2022.11.29 |
1. [한비자] 인간을 불신하는 철학 (0) | 2022.11.28 |